VFX 업계 최신 뉴스를 모았습니다. 이 곳의 뉴스는 매일 업데이트 됩니다.
최신 소식을 확인해보세요.

MBC연예 | 입력 2025-03-24 09:10 영화 '백설공주'가 업계 관계자들이 예상한 수치보다 저조한 성적으로 첫삽을 떴다. 23일(현지시간) 북미 영화 흥행 통계사이트 박스오피스모조에 따르면 '백설공주'는 개봉 첫 주말 동안 북미 지역에서 총 4,300만 달러(한화 약 630억 원)를 벌어들였다. 이는 업계 관계자들이 예상한 4,500만(약 660억 원)~5,000만 달러(약 730억 원)보다 낮은 수치다. 북미를 제외한 국가에선 총 4,430만 달러를 벌어들이며 총 8,730만 달러(약 1,280억 원)로 첫 주를 시작하게 됐다. 이는 영화가 목표로 했던 1억 달러에도 못 미치는 성적이다. '백설공주'의 제작비는 약 2억7,000만 달러(약 3,950억 원) 정도로 알려져 있다. 당초 '백설공주'의 제작비는 1억8,000만 달러 정도로 알려졌으나 여러 번의 재촬영, 추가적인 VFX 작업으로 크게 늘어나게 됐다. 스크린랜트에 따르면 '백설공주'의 손익분기점은 최소 5억 달러(약 7270억 원)에 육박한다. '백설공주'의 북미 오프닝 성적은 2023년 개봉해 큰 비판을 받은 '인어공주'의 절반 수준이기도 하다. 약 3억5,000만 달러의 제작비가 투입된 '인어공주'는 개봉 당시 북미에서 9,557만 달러의 오프닝 성적을 달성했었는데, 약 7억 달러에 육박하는 손익분기점을 채우지 못한 채 디즈니에게 2억 달러의 손해를 입힌 바 있다. 한편 '백설공주'는 눈보라가 몰아치던 겨울 밤 태어난 백설공주(레이첼 지글러)가 강력한 어둠의 힘으로 왕국을 빼앗은 여왕(갤 가돗)의 위협에 숲으로 도망치고, 마법의 숲에서 신비로운 일곱 광부들과 만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 디즈니 최초의 장편 애니메이션 '백설공주'(1937)를 원작으로 한다. 국내에선 지난 19일 개봉했다. 누적 관객수는 12만 명이다. iMBC연예 김종은 | 사진출처 월트디즈니컴퍼니...
추천 0 조회 162
테크M | 입력 2025.03.21 14:04 사진=챗지피티 IT서비스 기업들이 정기주주총회를 열고 지난해 성적을 공식화하고 있다. 업계 선두권 기업들이 견조한 실적으로 성장 산업의 수혜를 누리고 있다면 중위권 기업들은 엇갈린 성적표로 새로운 과제를 받아들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주요 IT서비스 기업들이 이번주부터 주주총회를 열고 지난해 실적 보고에 나섰다. 지난 19일 삼성SDS를 시작으로 이날 LG CNS와 롯데이노베이트의 주주총회가 열린다. 다음주 포스코DX와 현대오토에버, 신세계I&C의 주총도 예정됐다. 기업들은 주총에서 지난해 재무제표 승인의 건을 우선 의안으로 삼고 주주들에게 승인받는 것으로 한 해 성적에 마침표를 찍는다. 지난해 실적은 올해 사업 방향과 주주환원정책 등을 가늠하는 주요 지표가 된다는 점에서 시장의 관심도 높다. 지난 19일 주총을 열고 이준희 신임 대표이사를 사내이사로 선임한 삼성SDS는 지난해 13조8282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14조클럽' 진입을 눈앞에 뒀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9110억원이다. 전년 대비 매출은 4.15%, 영업이익은 12.73% 증가했다. 클라우드 사업 매출 신장폭이 23.5%에 달하며 상승세를 견인했다. 전체 매출의 과반을 차지하는 물류 부문 매출도 3.6% 증가했다. 이를 바탕으로 올해 클라우드 부문 성장에 더욱 집중한다. LG CNS는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며 5년째 우상향 그래프를 그리고 있다. 지난해 매출은 5조9826억원으로 전년 대비 6.73%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5129억원으로 같은 기간 10.52% 늘었다. 핵심 성장동력으로 삼고 있는 클라우드와 AI분야가 전체 매출의 과반을 차지하며 역대 최고 실적 경신에 기여했다. 회사는 올해 인공지능 전환(AX) 속도를 높이고 AI 데이터센터 사업 추진도 본격화한다. SK C&C는 지난해 매출...
추천 0 조회 134
뉴데일리 | 입력 2025-03-21 06:00 | 수정 2025-03-21 06:00 교육 프로그램 등에 대한 상호 교류협약 체결 ▲ 서울문화예술대 시각영상디자인학과가 최근 수퍼스타스튜디오와 상호교류협약을 체결했다.ⓒ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는 시각영상디자인학과와 수퍼스타스튜디오가 최근 상호 교류협약(MOU)을 맺었다고 21일 밝혔다. 양 기관은 ▲주요 시책 홍보 ▲교육 프로그램 상호 교류와 정보 자료 교환 ▲웹툰·애니메이션 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문화사업 공동 추진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 수퍼스타스튜디오는 애니메이션 업계 출신 대표들이 모여 웹툰과 애니메이션을 기획·제작하는 전문 스튜디오다. 현재 네이버 웹툰 플랫폼에 '보이스 피싱인데 인생 역전'이라는 작품을 연재하고 있다. 캐릭터 중심의 숏폼 애니메이션 제작과 웹툰 소스를 기반으로 한 무빙툰, 수퍼스타스튜디오만의 파이프라인 구축으로 낮은 단가로 빠르게 애니메이션을 제작한다. 아울러 국내·외 비독점 웹툰·애니메이션 작품에 대한 플랫폼 유통도 진행하고 있다. 임기택 수퍼스타스튜디오 대표는 "학교에서 배우는 지식과 현장에서의 기술과 경험 등 정보를 교환해 유기적으로 협력했으면 한다"며 "인재 양성을 위한 상호협조, 산학협력 세미나, 특강, 워크숍 등 프로그램을 공동 운영하며 인적자원 교류가 활성화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문화예술대 시각영상디자인학과는 현장 실무 중심 교육을 통해 게임, 애니메이션, 웹툰, 3D, VFX 영상디자인 분야의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오는 6월 1일부터 2025학년도 2학기 신·편입생을 모집한다. 입학생 전원에게 장학금을 준다. 자세한 내용은 입학지원센터에 문의하면 된다. ▲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 임정환 기자 (eruca@newdailybiz.co.kr) [기사 원문]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5/03/21/2025032100006.html
추천 0 조회 133
스포츠서울 | 입력 2025. 03. 21 (금) 영화 ‘백설공주’. 사진 | 월트디즈니컴퍼니 코리아 [스포츠서울 | 원성윤 기자] ‘백설공주’는 동화다. ‘콩쥐팥쥐’ ‘햇님과 달님’ 같은 전래동화처럼 선악의 구별이 뚜렷하다. 서사는 단선적이다.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다. 여기에 주인공의 외모 역시 이야기에 빠져드는 데 도움을 준다. 공주는 아름답고, 마녀는 추하다. 이는 어디까지나 보편적 정서를 거스르지 않는 선에서 몰입을 더하기 위한 장치다. 지난 19일 개봉한 영화 ‘백설공주’는 이런 관습을 깨려고 했다. 공주의 외모가 비록 아름답지 않아도, 내면의 아름다움이 더 훌륭하다고 반복적으로 설득한다. 문제는 이런 설득이 관객에게 그리 호소력 있게 들리지 않다는 점이다. 부모가 지어준 ‘스노우 화이트(snow white)’ 즉 백설공주라는 이름에 걸맞은 교감이 관객과 좀처럼 이뤄지지 않는다. 영화 내내 몰입감이 깨지는 건 어쩔 수가 없다. 영화 ‘백설공주’. 사진 | 월트디즈니컴퍼니 코리아 백설공주 역을 맡은 레이철 제글러는 1937년 원작 애니메이션을 “시대에 뒤떨어진 이야기”라고 비판한 바 있다. “왕자가 백설공주를 스토킹하는 것처럼 보인다”고도 했다. 비평가 입장이라면 충분히 맞는 이야기다. 양성평등 시대에 왕자의 키스로 깨어나는 설정도 그렇거니와 대가 없는 헌신이라니 요즘 시대엔 맞지 않다. 다만, 백설공주로 환상을 보여줘야 하는 주인공 역을 맡은 배우가 이러면 곤란하다. 제글러가 SNS에 “백설공주 역할을 위해 내 피부를 표백하진 않을 것”이라고 반발할 정도라면, 캐스팅하지 말아야 했다는 이야기가 나올 수밖에 없다. ‘일곱 난장이’라는 설정도 왜소증을 비하하는 것으로 비춰질 수 있다. 그동안 ‘백설공주’가 영화화되지 않았던 건 이런 위험 요소들이...
추천 0 조회 142
머니투데이 | 입력 2025.03.20 15:00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 '데이터랩' '데이터랩' 에서 볼 수 있습니다.] /사진=네이버 D2SF 제공 네이버의 기술 스타트업 액셀러이터 D2SF(D2 Startup Factory)가 AI(인공지능) 기반 실시간 마커리스 모션캡처 기술 스타트업 무빈에 후속 투자를 했다고 20일 밝혔다. 무빈의 이번 프리시리즈A 라운드는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가 리드하고 네이버 D2SF, 크루캐피탈 등이 참여했다. 네이버 D2SF는 예비창업단계에서 무빈을 발굴해 2023년 시드투자한 바 있다. 2023년 8월 설립된 무빈은 라이다(LiDAR) 센서를 활용한 고품질·저비용 실시간 마커리스 모션 캡처 기술을 개발했다. 거리와 깊이 등 공간 정보를 왜곡 없이 확보할 수 있어 3D 관절, 뼈 구조, 각도 등을 더욱 정밀하게 캡처할 수 있는 기술이다. 복잡한 후처리 없이 즉각적인 데이터 처리가 가능해 실시간으로 모션을 캡쳐할 수 있는 것도 강점이다. 또한 별도의 마커나 센서도 필요 없어 뛰어난 가격 경쟁력을 확보했다. 무빈은 첫 제품 '무빈 트레이싱'(MOVIN TRACIN)으로 글로벌 진출에 나섰다. 전세계 11개국 50개 이상의 게임사, 시각특수효과(VFX) 기업, 버추얼 기업을 고객으로 확보했다. 올해 하반기에는 3D 모션 데이터를 생성·제공하는 플랫폼을 출시할 계획이다. 네이버 D2SF는 무빈에 대한 발굴과 인큐베이팅, 시드투자를 거쳐 제2사옥 '1784'의 인프라를 활용해 모션 데이터셋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네이버의 버추얼 기술 및 사업 조직과의 협업 접점도 지속 모색 중이다. 양상환 네이버 D2SF 센터장은 "3D 모션 데이터는 AI가 인간의 움직임과 행동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이다. 엔터 산업을 넘어...
추천 0 조회 169
매일경제 | 입력 2025-03-20 14:54:04 제1회 ‘세계 오디오비주얼 및 엔터테인먼트 서밋’5월 1~4일 뭄바이서 열려 지난 19일 주한인도대사관은 서울 용산 주한인도대사관 스와미 비베카난다 문화원(SVCC)에서 ‘세계 오디오-비주얼&엔터테인먼트 정상회의(WAVES 2025)’ 브리핑을 열었다. 이날 아밋 쿠마르 주한인도대사가 연단에서 회의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주한인도대사관 제공] 인도가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M&E) 산업 허브 도약을 위한 일환으로 오는 5월 1일~4일 뭄바이에서 ‘세계 오디오비주얼 및 엔터테인먼트 서밋(WAVES 2025)’을 처음 개최한다. 지난 19일 주한 인도대사관은 서울 주한 인도대사관 스와미 비베카난다 문화원(SVCC)에서 브리핑을 열고, 한국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관계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요청했다. WAVES(웨이브) 2025는 레거시 미디어부터 디지털 콘텐츠, 영화, 애니메이션, VFX, 게임, OTT 플랫폼까지 M&E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융합 플랫폼이다. 크게 ▲디지털 미디어(소셜 미디어 플랫폼, OTT, 온라인 크리에이터, 앱 경제) ▲전통 미디어(뉴스 미디어, TV 및 라디오) ▲AVGC-XR(생성형 AI, 애니메이션 & VFX, 게임 & e스포츠, AR/VR/XR, 만화) ▲영화 및 다큐멘터리 등 4개 분야로 나뉘어 진행된다. 이번 서밋은 단순한 산업 행사에 그치지 않고, 정책 논의, 투자 유치, 기술 협력, 문화 교류까지 포괄하는 글로벌 미디어 혁신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한국은 K-콘텐츠의 글로벌 성공을 바탕으로 이번 서밋에서 핵심 협력 파트너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의 K-팝, K-드라마, 영화가 인도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인도측은 웨이브 2025가 양국의 공동 제작, 투자, 콘텐츠 교류 등의 확대 기회로 연결되리라 기대하고 있다. 한국-인도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 WAVES 2025...
추천 0 조회 130
매일경제 | 입력 2025-03-20 14:42:23 세계 최초 3D 모션캡처에 라이다 접목고품질·저비용 3D 모션 캡처 기술 구현 무빈·네이버 D2SF 로고. <네이버 D2SF> 네이버의 스타트업 투자팀 D2SF(D2 Startup Factory)는 인공지능(AI) 기반의 실시간 모션캡처 기술 스타트업 ‘무빈’에 후속 투자를 단행했다고 20일 밝혔다. 예비창업단계에서 무빈을 발굴해 23년 시드 투자한데 이어 지금까지의 제품 개발 성과와 향후 성장성에 주목해 추가 투자에 나선 것이다. 무빈의 이번 프리-A(Pre-A) 라운드 투자는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가 주도했고 네이버 D2SF, 크루캐피탈 등이 참여했다. 무빈은 세계 최초로 라이다(LiDAR) 센서를 활용한 실시간 마커리스 모션 캡처 기술을 개발했다. 라이다 센서를 사용해 거리와 깊이 등 공간 정보를 왜곡 없이 확보할 수 있어, 3D 관절, 뼈 구조, 각도 등을 더욱 정밀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잡한 후처리 없이 즉각적인 데이터 처리가 가능해 실시간으로 움직임을 캡쳐할 수 있는 것도 강점이다. 별도의 마커나 센서도 필요 없어 가격 경쟁력도 뛰어나다. 현재 무빈은 첫 핵심 제품인 ‘무빈 트레이싱(MOVIN TRACIN)’을 론칭하고 글로벌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미 전 세계 11개국 50개 이상의 게임, 시각효과(VFX), 버추얼 기업을 고객으로 확보한데 이어 세계 최대 게임 박람회 ‘GDC 2025’에서도 5분만에 세팅할 수 있어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고품질 모션 캡처 도구를 선보여 글로벌 업체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확인했다. 또한 올해 하반기 목표로 3D 모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플랫폼을 출시할 계획이다. 네이버 D2SF는 초기 투자 뿐 아니라 무빈이 네이버 사옥 1784의 인프라를...
추천 0 조회 153
전자신문 | 발행일 2025-03-20 09:47 GDC 2025 무빈 전시관 〈자료 네이버〉 네이버 D2SF가 인공지능(AI) 기반 실시간 마커리스 모션캡처 기술 스타트업 무빈에 후속 투자했다고 20일 밝혔다. 무빈은 2023년 예비 창업 단계에서 네이버 D2SF가 발굴해 인큐베이팅을 거쳐 시드 투자를 진행한 팀이다. 창업 1년 만에 핵심 기술 개발, 제품화, 유료 시장을 빠르게 증명해 이번 프리-A 라운드 투자로 이어졌다. 네이버 D2SF는 무빈이 1784의 인프라를 활용해 모션 데이터셋을 구축하도록 지원했다. 무빈은 세계 최초로 라이다 센서를 활용한 실시간 마커리스 모션 캡처 기술을 개발했다. 라이다 센서를 사용해 거리와 깊이 등 공간 정보를 왜곡 없이 확보하고 3D 관절, 뼈 구조, 각도 등을 정밀하게 캡처하는 기술이다. 복잡한 후처리 없이 즉각적인 데이터 처리가 가능해 실시간으로 모션을 캡쳐할 수 있다. 별도 마커나 센서도 필요 없다. 현재 무빈은 첫 핵심 제품인 '무빈 트레이싱(MOVIN TRACIN)'을 런칭하며 글로벌 비즈니스에 본격 나서고 있다. 세계 11개국 50개 이상의 게임, 시각특수효과(VFX), 버추얼 기업을 고객으로 확보했다. 세계 최대 게임 박람회 GDC 2025에서도 5분만에 세팅할 수 있어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고품질 모션 캡처 도구로 긍정적인 반응을 확인했다. 또한, 올해 하반기 목표로 3D 모션 데이터를 생성 및 제공하는 플랫폼을 출시할 계획이다. 양상환 네이버 D2SF 센터장은 “무빈은 탁월한 실행력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팀으로 향후 3D 모션 캡처를 넘어 3D 모션 데이터 플랫폼으로 확장성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변상근 (sgbyun@etnews.com) [기사 원문] https://www.etnews.com/20250320000064
추천 0 조회 100
데일리안 | 입력 2025.03.20 09:13 | 수정 2025.03.20 09:17 무빈, 3D 모션 캡처에 라이다 센서 접목모션캡처 솔루션 '무빈 트레이싱' 美 공략연내 3D 모션 데이터 플랫폼으로 사업 확장 무빈, 3D 모션 캡처에 라이다 센서 접목 모션캡처 솔루션 '무빈 트레이싱' 美 공략 연내 3D 모션 데이터 플랫폼으로 사업 확장 글로벌 게임 박람회 'GDC 2025'에 마련된 무빈 부스 전경.ⓒ네이버 네이버 D2SF는 인공지능(AI) 기반 실시간 마커리스 모션캡처 기술 스타트업 '무빈'에 후속 투자했다고 20일 밝혔다. 네이버 D2SF는 예비창업단계에서 무빈을 발굴해 2023년 시드 투자했고, 지금까지의 제품 개발 성과와 향후 성장성에 주목해 후속 투자를 단행했다. 무빈의 이번 프리A 라운드는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가 리드했고 네이버 D2SF, 크루캐피탈 등이 참여했다. 무빈은 세계 최초로 라이다(LiDAR) 센서를 활용한 실시간 마커리스 모션 캡처 기술을 개발했다. 라이다 센서를 통해 거리와 깊이 등 공간 정보를 왜곡 없이 확보해 3D 관절, 뼈 구조, 각도 등을 정밀하게 캡처할 수 있다. 복잡한 후처리 없이 즉각적인 데이터 처리가 가능해 실시간으로 모션을 캡처할 수 있는 것도 강점이다. 또, 별도의 마커나 센서가 필요 없어 높은 가격 경쟁력과 접근성을 가진다. 현재 무빈은 첫 제품인 '무빈 트레이싱'을 공개, 해외 사업에 본격 나서고 있다. 전 세계 11개국 50개 이상의 게임, VFX(시각 효과), 버추얼 기업을 고객으로 확보했다. 글로벌 게임 박람회 'GDC 2025'에서도 해당 기술을 선보였다. 무빈은 올해 하반기 목표로 3D 모션 데이터를 생성 및 제공하는 플랫폼을...
추천 0 조회 101
https://pf.kakao.com/_xixlxbAn/chat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