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FX 업계 최신 뉴스를 모았습니다. 이 곳의 뉴스는 매일 업데이트 됩니다.
최신 소식을 확인해보세요.

전자신문 | 발행일 2025-09-14 11:38 '2025 경북 국제 AI·메타버스 영상제(GAMFF)' 가 12일부터 14일까지 사흘간 구미, 포항, 경산, 청도 등 4개 시군과 가상현실 플랫폼 '감프월드(GAMFF World)'에서 동시에 열렸다. 지난해 첫 개최 이후 두 번째로 열린 이번 행사는 컨퍼런스, 학회연합세미나, 산업 협력 협약 체결 등 프로그램을 대폭 확대하며 가상융합산업과 콘텐츠를 아우르는 글로벌 축제로 한층 발전했다. GAMFF 개막식 모습 개막식에 앞서 경북도는 인공지능(AI) 및 가상융합 관련 기업 대표, 버추얼스튜디오 제작사 관계자 등 140여 명이 참석한 리셉션에서 '경상북도 AI·가상융합산업 발전 비전'을 선포했다. 12일 구미코 개막식 현장에서는 2족·4족 보행 로봇과 동시통역 기능을 갖춘 증강현실 스마트안경(AR 글라스)이 공개돼 눈길을 끌었다. 이어 배우 신현준과 정준호가 스크린 속 버추얼휴먼으로 살아난 고 김수미와 함께 무대를 꾸미며 큰 화제를 모았다. 경산 경일대에서 열린 '2025 경북 게임페스티벌' 개막식 모습. 생성형 AI 영상공모전은 올해부터 창작영상, IP 활용(광수생각·씨온엔터테인먼트), 광고영상·이미지, 뮤직비디오, APEC 등 5개 부문으로 확대되고 총상금도 1억원으로 늘어났다. 미국·중국·일본·러시아 등 12개국에서 1075편이 출품되는 성과를 거두었으며 창의성과 기술적 완성도가 뛰어난 작품들이 시상됐다. 다음 날 포항에서 열린 'AI·아트테크 어워즈'에서는 영화, 드라마,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애니메이션 등 최근 1년간 상업 현장에서 AI 및 시각특수효과(VFX) 기술을 활용한 우수작을 선정해 시상했다. '2025 경북 게임페스티벌'에서 양금희 경북도 경제부지사(가운데) 등 주요 참석자들이 부스를 돌아보고 있다. 이번 'AI·아트테크 어워즈'에서는 음악·음향효과상에 '정년이'의 장영규 음악감독, 미술상에 '파인:촌뜨기들'의 박일현 미술감독, VFX 시각효과상에 '전,란'의 정철민·최민호 슈퍼바이저가 각각...
추천 0 조회 33
한국경제 | 입력 2025.09.14 08:27 | 수정 2025.09.14 08:28 국제 협력·산업 성과·시민 참여가 어우러진 미래형 영상축제 구미 청도 등서 열려 ‘2025 경북 국제 AI·메타버스 영상제(GAMFF, 이하 ‘영상제’)’ 가 12일부터 14일까지 구미, 포항, 경산, 청도 등 4개 시군과 가상현실 플랫폼 ‘감프월드(GAMFF World)’에서 동시에 개최되고 있다. 상북도가 주도하는 AI·가상융합 산업 축제로 지난해 첫 개최 이후 두 번째로 열린 이번 행사는 컨퍼런스, 학회연합세미나, 산업 협력 협약 체결 등 프로그램을 대폭 확대하며 가상융합산업과 콘텐츠를 아우르는 글로벌 축제로 한층 발전했다. 개막식에 앞서 경상북도는 인공지능(AI) 및 가상융합 관련 기업 대표, 버추얼스튜디오 제작사 관계자 등 140여 명이 참석한 리셉션에서 ‘경상북도 AI·가상융합산업 발전 비전’을 선포하고 폭넓은 관심과 협력을 요청했다. 12일 구미코 개막식 현장에서는 2족·4족 보행 로봇과 동시통역 기능을 갖춘 증강현실 스마트안경(AR 글라스)이 공개되어 관람객들의 눈길을 끌었다. 이어 배우 신현준과 정준호가 스크린 속 버추얼휴먼으로 살아난 故 김수미와 함께 무대를 꾸미며 큰 화제를 모았다. 또한 시상식에서는 가수 박혜원(HYNN)과 뮤지컬배우 에녹이 무대에 올라 열정적인 축하공연을 선보이며 현장의 분위기를 최고조로 끌어올렸다. 생성형 AI 영상공모전은 올해부터 창작영상, IP 활용(광수생각·씨온엔터테인먼트), 광고영상·이미지, 뮤직비디오, APEC 등 5개 부문으로 확대되고 총상금도 1억원으로 늘어났다. 미국·중국·일본·러시아 등 12개국에서 1,075편이 출품되는 성과를 거두었으며 창의성과 기술적 완성도가 뛰어난 작품들이 시상됐다. APEC 부문 출품작인 ‘꽹’(소휘수·주우성 제작)이 종합대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 작품은 경주의 천년 역사를 힙합 뮤직비디오 형식으로 재해석하고 첨성대 등 문화유산을...
추천 0 조회 32
데일리안 2016년 무렵 처음 VR이라는 매체에 접한 김경국 감독은 곧장 이 세계에 몰입했다. 기술이 막 태동하던 시기였던 만큼 어떤 콘텐츠가 의미를 가질 수 있을지 매일같이 고민하며 미국의 여러 VR 스타트업을 거치며 경험을 쌓았다. 현장에서 제작을 배우고 실험적인 콘텐츠를 직접 만들던 그는 2019년 어메이즈에 합류해 본격적으로 음악 분야 VR 프로젝트에 도전했다. VR 콘서트 첫 작업은 미국 아티스트 메간 디 스탤리온(Megan Thee Stallion)이었고, 예상보다 큰 호응을 얻으며 ‘이 장르에서 진짜 킬러 콘텐츠는 K-POP’이라는 확신을 굳혔다. ⓒ 이후 ‘하이퍼포커스: 투모로우바이투게더’ VR 콘서트에 이어 최근 ‘엔하이픈 VR 콘서트: 이머전’의 메가폰을 잡으며 자신만의 연출 세계를 넓혀가고 있다. ‘엔하이픈 VR 콘서트 : 이머전’(ENHYPEN VR CONCERT : IMMERSION)은 거대한 사무실, 폐공장, 루프탑 등 현실과 비현실을 넘나드는 무대를 배경으로, 눈앞에서 멤버들과 마주하는 신개념 공연이다. ‘바이트 미’(Bite Me), ‘XO’(Only If You Say Yes)’, ‘하이웨이 1009’(Highway 1009) 등 총 8곡의 무대가 준비됐다. 어메이즈의 12K 실사 촬영과 언리얼 엔진 기반 VFX, AI 슈퍼 레졸루션 기술은 무대 위 멤버의 시선과 호흡까지 또렷하게 구현하며 현장의 생생함을 살렸다. 이 기술적 완성도는 결국 팬들이 직접 체감하는 ‘거리감’에서 가장 빛을 발한다. 나아가 단순한 관람에서 팬과 아티스트가 교감하는 장으로 진화했다. “저희가 제일 메인으로 내세우는 강점은 일반 콘서트에서도 경험할 수 없는 압도적인 가까운 거리감이라고 생각합니다. 몇몇 분들은 거의 음악방송 무대에 카메라 감독이 된 기분이라고도 말씀하시더라고요. 영상이나 뮤직비디오에서도 카메라를...
추천 0 조회 29
https://pf.kakao.com/_xixlxbAn/chat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