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FX 업계 최신 뉴스를 모았습니다. 이 곳의 뉴스는 매일 업데이트 됩니다.
최신 소식을 확인해보세요.

매일경제 | 입력 2025-10-13 10:31:45 장성호 감독의 AI기반 컨텐츠제작사북미 개봉 첫주 100억원 매출 화제AI·버추얼 프로덕션 차기작 제작과글로벌 배급망 확장 나설 실탄 마련 미국 박스오피스 2위에 올라 흥행 돌풍을 일으킨 토종 애니메이션 ‘킹 오브 킹스’ 이미지 <모팩스튜디오> 모팩스튜디오 로고 북미 개봉 첫 주 박스오피스 2위에 올랐던 애니메이션 영화 ‘킹 오브 킹스’제작사 모팩스튜디오(MOFAC Studio)가 차기작 제작과 글로벌 배급망 확장에 날개를 달았다. 모팩스튜디오(모팩)는 미국계 벤처캐피털(VC) 알토스벤처스(Altos Ventures)로부터 약 60억원 규모 투자를 유치했다고 13일 밝혔다. 모팩 창업자이자 대표인 장성호 감독은 한국 1세대 특수시각효과(VFX) 전문가로 해운대, 명량, 스위트홈 등 유명 영화와 드라마의 컴퓨터그래픽(CG) 작업을 담당했다. 장성호 모팩스튜디오 대표 올해 4월 10여년간 기획하고 제작한 장편 애니메이션 ‘킹 오브 킹스(King of Kings)’로 북미 개봉 첫 주 박스오피스 2위에 오르고 매출 100억원(701만달러)을 찍었다. 개봉 초 누적 흥행 수익도 약 272억원(1910만달러)을 돌파했다. 예수의 일생을 다룬 영국 대문호 찰스 디킨스의 소설을 모티브로 한 이 애니메이션은 북미 관객들로부터 시네마스코어 최고 등급인 ‘A+’를 획득해 작품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입증했다. 디즈니와 픽사, 드림웍스 등 할리우드 대형 영화사들이 장악한 북미 장편 애니메이션 시장에서는 이례적인 성과다. 한국에서도 개봉 5주차 기준 역대 한국 애니메이션 영화 흥행 2위에 올랐다. 알토스벤처스는 모팩의 ‘킹 오브 킹스’ 성공 방정식을 통해서 향후 성장 가능성을 크게 평가하고 단독 투자를 단행했다. 우선 모팩은 고가의 신작 IP(지식재산권)을 확보하는 대신, 저작권이 만료된 IP를 재해석하는 전략을 택했다....
추천 0 조회 11
이데일리 | 등록 2025-10-13 오전 9:55:28 | 수정 2025-10-13 오전 9:55:28 언리얼 엔진 영화 제작에 접목해 혁신북미 개봉 첫 주 100억 원 매출…박스오피스 2위AI·버추얼 프로덕션 기반 차기 작품 제작 [이데일리 마켓in 송재민 기자]알토스벤처스가 영화 ‘킹 오브 킹스’ 제작사 모팩스튜디오에 약 60억원 규모의 투자를 집행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알토스벤처스 단독으로 진행했다. 영화 ‘킹 오브 킹스’의 장면. (사진=모팩스튜디오) 모팩의 창업자이자 대표인 장성호 감독은 한국 1세대 특수시각효과(VFX) 전문가다. 해운대, 명량, 스위트홈 등 다수의 유명 작품에서 CG 작업을 담당했으며, 올해 4월 10여 년간 기획 및 제작한 장편 애니메이션 킹 오브 킹스를 선보였다. 킹 오브 킹스는 예수의 일생을 다룬 영국의 대문호 찰스 디킨스의 소설을 모티브로 한 애니메이션으로, 2025년 4월 북미에서 개봉해 첫 주 100억 원(7.01백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박스오피스 2위에 올랐다. 개봉 며칠 만에 누적 흥행 수익은 약 272억 원(1910만 달러)을 돌파했다. 이는 27년 만에 성경 애니메이션 장르에서 이집트 왕자의 기록을 넘어선 성과다. 또한 북미 관객들로부터 시네마스코어 최고 등급인 ‘A+’를 획득하며 작품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입증했다. 한국에서 역시 개봉 5주차 기준으로 역대 한국 애니메이션 영화 흥행 2위에 올랐다. 할리우드의 ‘빅5’(디즈니, 픽사, 소니, 드림웍스, 일루미네이션)가 장악한 북미 장편 애니메이션 시장에 외부 스튜디오가 진입하는 것은 극히 드물다. ‘킹 오브 킹스’ 보수와 문화의 상징적 공간인 워싱턴 D.C. 케네디 센터에서 기립 박수와 호평 속에 추가 상영까지 이뤄내며 한국의 중소...
추천 0 조회 11
매일경제 | 입력 2025-10-10 16:01:49 장편 상업영화 진출한 AI제작에 인공지능 활용 대세로69세 배우 얼굴 20대로 바꾸고저승사자 크리처도 AI로 구현CG로 몇달 걸릴 일 며칠만에 영화 '히어' 주연을 맡은 톰 행크스(왼쪽) 얼굴에 인공지능(AI) 시각효과 기술 '디지털 메이크업'이 적용된 모습(오른쪽). 메타피직스 홈페이지 캡처 지난 2월 국내 개봉한 로버트 저메키스 감독의 영화 '히어'는 할리우드 장편 영화 중 처음으로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반 시각효과를 전면에 내세워 제작돼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시각특수효과(VFX) 회사 메타피직스의 AI 시각효과 기술 '디지털 메이크업'은 올해 69세인 배우 톰 행크스의 외모를 20대로 단숨에 바꿔놓았다. 기존 컴퓨터 생성 이미지(CGI) 기술로는 수개월이 소요되는 과정을 획기적으로 줄인 것이다. 오는 15일 CGV 단독 개봉을 앞둔 강윤성 감독의 액션 블록버스터 영화 '중간계'에서도 생성형 AI가 활용됐다. 이승과 저승 사이인 중간계에 갇힌 이들을 저승사자가 추격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은 영화에서 12지신을 모티브로 한 저승사자 캐릭터가 AI로 만들어진 것이 대표적이다. 강 감독은 최근 영화 코멘터리 영상에서 "컴퓨터그래픽(CG)으로 만들면 몇 달 걸리지만 AI로는 수일 내 끝난다"고 말했다. 산업 전반에서 생성형 AI가 활발하게 접목되는 가운데 미국 할리우드와 충무로 등 주류 영화업계에서도 장편 상업영화 제작에 AI를 활용하는 사례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비용을 낮추면서 효율적인 제작이 가능해 코로나19 이후 이어진 업계 부진으로 자금난에 시달리는 한국 영화계에 돌파구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영화 중간계는 한국 장편 상업영화 최초로 제작에 AI를 활용했다. 지난해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BIFAN)에서 국내 영화제...
추천 0 조회 12
헤럴드경제 | 입력 2025-10-07 21:40:00 드라마 ‘견우와 선녀’ 실사 촬영 없이 AI로 구현 덱스터·디지털아이디어 “올해 본격 AI 현장 도입” “콘셉팅 결과물 일주일 5→100개, 생산성↑” ‘AI 영상 강사’ 새 직업 등장…“숏폼 문의 커” “저작권·보안 문제 해결해야 전방위 활용 가능” tvN 드라마 ‘견우와 선녀’의 한 장면 [tvN 유튜브 채널 캡처] [헤럴드경제=차민주 기자] #. 한바탕 전쟁이 일어났다. 폭발로 인해 불꽃이 번쩍인다. 총알이 하늘을 가른다. 흙이 요란한 소리를 내며 사방으로 튀어 오른다. 그 사이를 뚫고 병사들이 이리저리 움직인다. 총에 맞은 병사가 몸을 튕기며 바닥으로 쓰러지고, 전우를 잃은 병사는 혼비백산해 반대편으로 뛰어간다. 생사의 갈림길 앞에 선 그들의 몸짓에서 느껴지는 긴장감이 생생하다. 이는 지난 6월 개봉한 tvN 드라마 ‘견우와 선녀’에 등장하는 전쟁 장면이다. 50명이 넘는 엑스트라부터 특수 효과까지, 언뜻 보기에도 촬영 현장의 어려움이 엿보인다. 자칫하면 배우들이 ‘밤샘 촬영’까지 감수해야 하는 촬영 장면이지만, 예상 외로 단 한 명의 직원도 현장에 투입되지 않았다. 특수영상(VFX) 제작을 담당하는 덱스터 스튜디오가 실사 촬영 없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제작했기 때문이다. 배우들의 밤샘 작업 없이도 전쟁처럼 어려운 촬영 장면이 손쉽게 구현되는 환경이 구현된 셈이다. tvN 견우와 선녀 방송 화면 캡처 AI가 ‘전문성’의 영역으로 꼽혔던 영화·드라마 제작 현장을 뒤바꾸고 있다. 컴퓨터 그래픽(CG) 등 영상의 기술 영역을 담당하는 VFX 업계는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AI를 현장에 도입했다. 밤샘 촬영 등 업무 강도가 높은 것으로 유명한 영화·드라마 제작 현장이...
추천 0 조회 15
https://pf.kakao.com/_xixlxbAn/chat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