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FX 업계 최신 뉴스를 모았습니다. 이 곳의 뉴스는 매일 업데이트 됩니다.
최신 소식을 확인해보세요.

변우석, 넷플 ‘나 혼자만 레벨업’ E급 헌터 성진우 역 캐스팅 확정 - 스포츠서울

조회 : 62
등록일 : 2025-07-10 21:00

스포츠서울 | 입력 2025. 07. 10 (목)


이미지를 불러올 수 없습니다

변우석. 사진 | 넷플릭스 SNS


[스포츠서울 | 최승섭기자] 전 세계 143억 뷰 신화를 쓴 ‘나 혼자만 레벨업’이 넷플릭스에서 실사 시리즈로 제작되며, 주인공 성진우 역에 변우석이 낙점됐다.

넷플릭스는 10일 공식 SNS에 “E급 헌터 성진우, 죽음의 문턱에서 각성하다. 압도적 레벨업 능력을 가지게 된 최약체 헌터의 이야기를 담은 액션 판타지 시리즈 ‘나 혼자만 레벨업’, 성진우 역 변우석 캐스팅 확정”라며 이 사실을 알렸다.

‘나 혼자만 레벨업’은 웹소설과 웹툰, 애니메이션, 게임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신화를 써온 작품으로, 카카오페이지 연재 이후 누적 조회수 143억 뷰를 기록하며 국내외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다.

이번 시리즈는 현실과 이계를 연결하는 ‘게이트’와, 그 너머 몬스터로부터 세상을 지키는 ‘헌터’들의 이야기를 그린다. 특히, 최약체 ‘E급 헌터’ 성진우가 죽음의 위기에서 각성해 ‘최강 헌터’로 성장하는 압도적인 레벨업 서사가 중심이다. 이 작품은 이미 애니메이션으로도 제작되어 2025년 크런치롤 어워즈에서 ‘올해의 애니메이션’, ‘베스트 액션’, ‘베스트 캐릭터’ 등 9개 부문을 석권하며 한국 애니메이션 최초의 기록을 세웠다.

변우석은 영화 ‘20세기 소녀’, 드라마 ‘선재 업고 튀어’ 등으로 ‘만찢남’ 신드롬을 일으키며 국내외에서 큰 사랑을 받고 있다. 최근 4개월 연속 배우 브랜드 평판 1위를 차지하는 등 명실상부한 대세 배우로 자리매김한 그는, 이번 작품을 통해 성진우의 성장과 강렬한 액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연출은 영화 ‘백두산’의 김병서 감독과 ‘김씨 표류기’의 이해준 감독이 맡았으며, 카카오엔터테인먼트와 사나이픽처스가 제작을 담당한다. 글로벌 VFX팀이 참여해 현실에는 없는 던전과 몬스터, 압도적인 비주얼을 구현할 예정으로, 원작 팬들과 전 세계 시청자들의 기대를 모으고 있다. thunder@sportsseoul.com

최승섭 기자

[기사 원문] https://www.sportsseoul.com/news/read/1529979?ref=naver


전체 0

    한국경제 | 입력 2025.09.02 15:50 | 수정 2025.09.02 15:50 | 지면 B11 2025 올해의 브랜드 대상 마리오아울렛(회장 홍성열)이 한국소비자포럼이 주관하는 ‘2025 올해의 브랜드 대상’ 도심형 아울렛 부문에 21년 연속 선정됐다. 2001년 개점한 마리오아울렛은 여성·남성·유아동 패션은 물론 리빙·아웃도어·스포츠·키즈 등 전 세대를 아우르는 브랜드 구성과 체류형 콘텐츠 중심의 쇼핑 환경을 지속적으로 확대해왔다. 외식 콘텐츠 강화와 고객 편의시설 확충도 고객 만족도 향상에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외식 부문에서는 ‘일본정통음식전문관’을 중심으로 자사 직영 브랜드인 마치다쇼텐(라멘), 미사쿠(일본 가정식), 카츠바이혼(가츠동), 간소아부라도(소바)를 비롯해 실라칸스(프리미엄 중식), 자모산순대국 등 다양한 메뉴를 운영하고 있다. 마리오아울렛은 1관 6개층을 인공지능(AI)과 시각특수효과(VFX) 기술을 활용한 체험형 콘텐츠 공간으로 리뉴얼 중이다. ‘버츄얼스튜디오 쇼츠’는 사용자의 동작과 얼굴을 인식해 드라마·게임·애니메이션 스타일 영상으로 변환해주는 몰입형 체험존으로, 국내외 대형 OTT 플랫폼 및 글로벌 프로젝트에 참여한 VFX 전문기업 웨스트월드와 협업해 구현된다. 임다연 기자 allopen@hankyung.com 임다연 기자 [기사 원문]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90267401
    추천 0 조회 5
    더벨 | 공개 2025-09-01 13:18:41 ②오리지날 콘텐츠 중요도 확대, FFS 지속 확대 '영상물 퀄리티 제고' [편집자주] CJ그룹 문화사업의 핵심 축인 CGV가 대변혁을 시도하고 있다. 팬데믹 이후 OTT의 영향력 확대로 영화관 업황이 급격히 꺾이자 해외사업을 재편하는 동시에 자회사인 포디플렉스를 육성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며 선택과 집중을 도모하고 있다. 더벨은 CGV의 현재 경영 상황 및 재무 여력 등을 다각도로 살펴보고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짚어본다. 업계 최초 멀티플렉스를 도입한 CJ CGV는 사업 히스토리 자체가 도전의 연속이다. 2009년 ‘4D 시네마’를 도입하며 눈으로 보는 영화에서 오감만족 체험형 관람 시대를 열었다. 이후 CGV는 또한번 변화의 언덕을 마주한다. 신수종 사업인 ‘포디플렉스(법인명 씨제이포디플렉스)’를 통해서다. OTT 영향으로 영화관 산업이 침체기에 접어든 가운데 CGV는 특별관과 콘텐츠로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특별관 장비 제조·판매업과 공연, 스포츠 등 콘텐츠 제작·배급 시너지를 강화해 지속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성장 속도도 가파르다. 2024년 매출은 1200억원 수준에서 2030년에는 7400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내부적으로 기대한다는 입장이다. ◇특별관·오리지날 콘텐츠·VFX 기술 활용 영상 제작 3가지 비즈니스 CGV는 2009년 최초로 4D영화 상영 시스템 4DX를 상용화하며 업계에 주목을 받았다. 첫 개봉 영화는 ‘잃어버린 세계를 찾아서’로 포디플렉스의 시초라고 볼 수 있다. 이후 2012년 스크린X 론칭하며 특별관 경쟁력을 강화했다. 2016년에는 모션체어와 VR 시뮬레이터 제작사인 시뮬라인과 합병하며 지금의 외형이 완성됐다. 포디플렉스의 비즈니스는 크게 3개로 나뉜다. △기술 특별관 장비 제조·판매 △오리지날 콘텐츠 제작·배급 △VFX 기술 활용...
    추천 0 조회 6
    https://pf.kakao.com/_xixlxbAn/chat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