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FX 업계 최신 뉴스를 모았습니다. 이 곳의 뉴스는 매일 업데이트 됩니다.
최신 소식을 확인해보세요.
제목을 가져올 수 없습니다.
경향신문

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에서 주인공 김독자 역을 맡은 배우 안효섭. 더프레젠트컴퍼니 제공
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은 10년 넘게 연재된 판타지 웹소설을 끝까지 본 유일한 독자의 눈앞에 소설 속 세계가 그대로 재현되며 벌어지는 일을 담는다. 지극히 평범한 20대 회사원인 주인공의 이름은 김독자. 역할수행게임(RPG)에서나 봤던 알림창이 떠다니고 파충류형의 괴수가 출몰하는 판타지 세계에 관객이 적응할 수 있도록 인도하며 극을 이끄는 인물이다.
올해 데뷔 10주년을 맞은 배우 안효섭(30)이 무색무취, 검은 양복 차림의 김독자를 연기했다. 영화로는 첫 주연작이다. 안효섭은 배우 이민호·채수빈·신승호·나나 등 출연진들 사이에서 안정적인 연기로 영화의 중심을 잡아낸다.
명성 높은 원작 IP(싱숑 작가의 동명 웹소설), 300억 제작비 판타지 대작, 올여름 텐트폴 영화. 부담스러운 수식어가 잔뜩 붙은 영화이지만, 16일 서울 종로구 한 카페에서 만난 안효섭은 들뜬 기색 없이 차분했다. 그는 “나의 ‘김독자’를 잘 만들어야겠다는 생각뿐이었다”며 “부끄러움이 남지 않도록 매 현장에 열심히 임했다”고 했다.

<전지적 독자 시점> 한 장면. 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김독자의 평범함은 안효섭이 <전지적 독자 시점>을 택한 이유다. “이전에 했던 역할들은 저마다 강점이나 특색이 있었는데, 독자는 그게 안 보였어요. 제목처럼 독자의 시점으로 진행되는 이야기이니, 누구나 이입할 수 있는 보편적인 평범함을 구현하고 싶었습니다.”
“(독자가) 너무 멋있지 않았어요? 지나치게 능숙하진 않았나요?” 안효섭이 김병우 감독에게 가장 많이 물었다는 말이다. 그는 평범하던 사람이 칼로 괴수를 무찌르는 모습이 너무 ‘주인공스럽게’ 표현될까 봐 고민했다고 한다.
김독자는 학교폭력을 당했던 트라우마가 있는 인물이기도 하다. 캐나다 국적인 안효섭은 7살 무렵 한국에서 캐나다에 이민을 가 초·중·고등학교 생활을 해외에서 보냈다. 그는 김독자를 보며 친구가 많지 않던 유년 시절의 기억을 떠올렸다고 한다. 그는 “제게도 집에서 좋아하는 영화·유튜브·K팝을 보고 듣는 시간이 원동력이었기 때문에, 독자가 웹소설에 의지했던 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고 했다.

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에서 유중혁(좌, 이민호)과 김독자(우, 안효섭)가 무너진 다리 위에서 대치하고 있다. 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영화 속 웹소설의 주인공 유중혁 캐릭터를 맡은 배우 이민호는 그 자체로 연기에 도움이 됐다. 그는 어릴 때부터 이민호의 드라마를 봐온 팬으로서의 마음을 투영해 유중혁을 연예인이자 영웅처럼 바라보는 김독자의 시선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었다고 했다.
영화는 전체 1500여 컷 중 약 1300여 컷이 CG 분량일 만큼 시각특수효과(VFX)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처음에는 ‘사탕 같은 막대기’를 보고 앞에 도깨비가 있는 듯 연기하는 것이 어색하기도 했다고 한다. 그는 “내가 이걸 믿지 않으면 관객을 어떻게 설득할까 생각하고 나니 집중할 수 있더라”고 했다.
JYP엔터테인먼트에서 아이돌 데뷔를 준비하기도 했던 안효섭은 2015년 MBC <퐁당퐁당 러브>로 배우 생활을 시작해 <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 <낭만닥터 김사부 2·3>, <사내맞선> 등에서 주연을 맡았다. 처음에는 배우의 길을 가는 게 맞는지 고민도 컸다. 개인적 전환점은 <낭만닥터 김사부 2>였다. 촬영 당시 배우 한석규가 “효섭아, 연기 재미있지? 잘하면 더 재미있다”라고 한 말에 그는 “그 재미라는 것을 알 것 같았다. 연기에 대한 열망이 그때부터 타올랐다”고 했다.

넷플릭스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서 안효섭이 영어 목소리 연기를 맡은 그룹 사자보이즈의 진우(왼쪽에서 세 번째). 넷플릭스 제공
올해는 안효섭에게 수확의 시기다. 전 세계적 인기를 얻고 있는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서 사자보이즈 진우 역 영어 목소리 주인공도 그이다. 그는 제2의 모국어와도 같은 영어로 감정 폭이 넓은 애니메이션 더빙을 하면서 “후련한 마음”이었다면서 “예상치 못한 뜨거운 반응 덕에 좋은 나날을 보내고 있다”고 했다.
안효섭은 개봉을 앞둔 <전지적 독자 시점>을 “영화에 눈 뜬 작품”이라고 표현했다. 그는 “모두가 하나의 목적을 가지고 매 조각을 공들여 찍고, 고민하는 현장이 정말 제 스타일과도 맞았다”고 했다. 안효섭은 “배우를 하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값진 작품”이었다고 영화에 애정을 드러냈다.
300억 대작 액션 ‘전지적 독자 시점,’ 게임 같은 세계관 설득 가능할까
10년 넘게 연재된 웹소설 <멸망한 세계에서 살아남는 세 가지 방법(멸살법)>은 초반엔 인기작이었으나, 언젠가부터 조회수가 ‘1’뿐이 찍히지 않는다. 10대인 중학생 때부터 20대 평범한 직장인이 되기까지, 김독자(안효섭)는 유일한 독자로 남아 연재를 함께했다. 소설의 완결편이 올라온 날, 김독자는 실망한다. 아포칼립스에서 결국 주인공 유중혁(이민호)...
https://www.khan.co.kr/article/202507161347001
[기사 원문] https://www.khan.co.kr/article/202507161558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