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FX 업계 최신 뉴스를 모았습니다. 이 곳의 뉴스는 매일 업데이트 됩니다.
최신 소식을 확인해보세요.
껍질 깐 ‘나노 바나나’ 주인 구글…“일관성 있는 이미지 AI” [팩플] - 중앙일보
중앙일보 | 2025-08-27 15:41
바나나의 주인은 구글이었다. 구글이 고품질 결과물로 소셜미디어(SNS) 등 온라인에서 화제가 됐던 인공지능(AI) 이미지 생성 모델 ‘나노 바나나’의 정식 출시를 알렸다.

'나노바나나'라는 코드명으로 먼저 알려진 구글의 이미지 생성 AI 모델 제미나이 2.5 플래시로 생성한 이미지. 계단, 여성, 휴대전화 등 세 개의 사진을 합성해 오른쪽 이미지로 만들어낸 것.사진 구글
구글은 26일 자사 블로그에 최신 이미지 생성 및 편집 모델인 ‘제미나이 2.5 플래시 이미지(Gemini 2.5 Flash Image)’를 소개했다. 모델 이름 뒤에는 괄호를 붙여 ‘일명 나노 바나나(aka nano-banana)’라고 부연했다.
나노 바나나는 최근 엑스(X)·스레드·레딧 등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서 입소문을 타며 업계의 큰 관심을 모았다. 서로 다른 두 이미지를 넣고 원하는 프롬프트(명령어)를 입력하면 실제 사진처럼 자연스럽게 합성해 내, 온라인에는 사용 후기 이미지들이 쏟아졌다. 그간 개발 주체는 베일에 가려져 있었다. 업계에선 구글 제품이라고 추정하고 있었는데, 명확히 밝히지 않다가 이번에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기존 이미지 생성 AI 모델은 프롬프트에 맞춰 새 이미지를 그럴 듯 하게 생성해 내긴 했지만, 같은 인물을 여러 장면에 반복 등장시키다 보면 얼굴이나 체형이 바뀌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그래서 광고 제작이나 브랜드 마케팅 등 실질적 비즈니스에 활용하는 데 제약이 존재하기도 했다. 스토리텔링이나 브랜드 제작에 중요한 일관된 콘셉트를 유지하기 어려워서였다.

'나노바나나'라는 코드명으로 먼저 알려진 구글의 이미지 생성 AI 모델 제미나이 2.5 플래시로 생성한 이미지. 배경이 바뀌지만 사람의 얼굴은 일관되게 생성하고 있다.사진 구글
제미나이 2.5 플래시 이미지는 기존 모델의 약점인 ‘일관성’에 강점을 두고 있다. 구글은 “같은 캐릭터나 제품을 다양한 환경에 배치하거나, 새로운 배경과 여러 각도에 둬도 이미지를 일관되게 생성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여러 장의 사진을 업로드해 완전히 새로운 장면을 만드는 멀티 이미지 합성 기능과 이미 생성한 이미지의 세부 항목들을 계속 수정·편집하는 기능도 갖췄다.
국내 한 IT업계 관계자는 “기존에 사람이 3D·포토샵 등을 활용해 긴 시간 들여서 하던 일을 거의 몇 초 만에 해내는 수준까지 갔다”고 말했다. 구글은 이날 블로그를 통해 자사 모델이 오픈AI의 ‘GPT Image 1’, 알리바바의 ‘Qwen Image Edit’ 등 타사 모델 대비 각종 벤치마크(성능)에서도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구글은 새 모델을 개발자 플랫폼 제미나이 API와 버텍스 AI, 구글 AI 스튜디오에 공개했다. 개발자라면 누구나 쉽게 모델 API를 연결해 다양한 서비스를 만들어 낼 수 있게 된 것.
구글은 나노 바나나를 통해 타사 모델 대비 높은 기술력을 과시함과 동시에, 구글 생태계에 또 하나의 무기를 탑재하게 됐다. 구글이 해당 모델을 공개한 날 포토샵 개발사 어도비는 자체 생성 AI 플랫폼 파이어플라이와 디자인 툴인 어도비 익스프레스에서 구글의 새 이미지 생성 모델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고도화된 이미지 생성 AI 기술의 해자가 열리면서 이를 활용한 기업들 서비스 경쟁은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기술력 그 자체보다는 누가 더 실용적이고 창의적인 서비스를 만들어 비즈니스 수익을 창출하느냐가 중요해졌다는 의미다. 다만 육안으로는 티가 나지 않을 정도로 정교해진 이미지 합성 기술이 딥페이크나 저작권 침해 등 문제로 악용될 소지 또한 크다. 구글 측은 “제미나이 2.5 플래시 이미지(나노 바나나)로 생성된 이미지에는 모두 워터마크(SynthID)가 삽입돼 감지 도구를 통해 AI 생성·편집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홍상지 기자 hongsam@joongang.co.kr
[기사 원문]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62091